ALL
음악
ICH Materials 7
-
민중 예술가 톡토굴 사틸가노프톡토굴 사틸가노프(Toktogul Satylganov)는 위대한 작곡가이자 시인, 아킨(akyn, 즉흥 음송시인), 코무즈 연주가로, 키르기스스탄 문화에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는 서민들의 고충에 관해 노래했고, 키르기스스탄이 제정러시아의 식민지배를 받던 시절 민족의 자유와 독립에 관한 노래들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문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n\n톡토굴 사틸가노프는 1864년 잘랄아바트주 톡토굴시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읽기와 쓰기를 배운 적은 없지만, 13세의 나이에 코무즈(키르기스 전통 악기) 연주법을 스스로 익혔고 서민들의 가난과 봉건제도의 잔인함에 관한 노래를 작곡하기 시작했다. 1898년 그는 안디잔(Andijan) 봉기에 가담했다는 누명으로 투옥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제정러시아 황제의 선처로 시베리아에서 7년간 복역하는 것으로 감형받았다. 시베리아 노동수용소에서의 경험은 사회적 불평등과 봉건제도의 비인간성에 대한 그의 생각을 보다 굳건하게 만들었다. 이런 연유로 그는 아킨으로서는 최초로 1917년 일어난 볼셰비키 혁명(니콜라스2세 황제에 대항하여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도하에 농민과 노동자가 일으킨 혁명)에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n\n그의 저명한 작품들은 키르기스 문학에 큰 기여를 했다. 또한 소비에트 시절 그의 노래는 키르기스 전통 사회의 여론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노래에는 서민의 삶과 조국의 아름다움, 그리고 소비에트시대의 공산주의 정당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 그는 ‘어떠한 여인이 레닌과 같은 아들을 낳았는가?’라는 노래를 통해 최초로 레닌을 묘사하기도 했으며, 이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문학의 시초로 여겨지고 있다. 그는 노래를 통해 전제정치의 종말을 예고하며 노동권을 찬양했고,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자극이 됐다. 수많은 키르기스 시인과 작곡가들이 그의 영향을 받았고, 그의 작품은 여러 언어로 번역됐다.\n\n톡토굴 사틸가노프는 아킨으로서 키르기스 전통 예술에 중요한 인물이다. 아킨은 키르기스 유목민의 주된 문화적 표현양식으로, 200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됐다.\n\n키르기스 문학에 지대한 공을 세운 그를 기리기 위한 시와 음악, 책, 기사, 영화가 많이 만들어졌다. 수도 비슈케크 중심에 위치한 국립필하모닉 홀의 명칭에는 그의 이름이 사용됐고, 그를 위한 여러 기념물이 세워졌다. 톡토굴 시도 그를 기념하기 위해 명명됐다. 이밖에도 여러 거리와 지역, 공원, 학교, 도서관, 심지어 최대 규모의 수력발전소와 저수지에서도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있다. 톡토굴 사틸가노프는 위대한 작곡가이자 시인, 아킨, 코무즈 연주자로서 키르기스 전통 예술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n\n사진 : Toktogul SatylganovYear2018NationKyrgyzstan
-
베트남 푸토 성 쏘안 가창의 완벽한 재현보호가 시급하던 무형유산이 6년 만에 베트남인의 삶 속에서 부활하였다. 핫 쏘안 푸토(Hat Xoan Phu Tho)가 그 주인공이다. 핫 쏘안 푸토는 베트남 북부 푸토 성의 독특한 대화식 가창으로, 2011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에 등재되었다. 이후 베트남에서는 이 전통을 계승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을 시행하였다.\n\n노래와 춤이 독특하게 결합된 쏘안은 푸토 성의 비엣찌 고지대에서 유래되었다. 지역 주민들은 쏘안을 통해 공동체 생활의 풍요로움을 표현한다. 또한 고대의 왕을 추모하는 내용과 농경, 어업, 사냥, 직조 등 베트남의 고유한 삶에 대한 주민들의 기술과 기교, 지식을 표현하는데 쏘안 연행자 집단인 푸득(Phu Duc), 낌다이(Kim Dai), 탯(Thet), 안타이(An Thai)에게 쏘안은 사회문화적 정체성의 핵심이자 정수로 여겨진다.\n\n2011년부터 국가와 지역 공동체는 쏘안을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지원해오고 있다. 노련한 노장의 연행자들과 60여명의 젊은 예술가들은 여러 창조적 협력을 통해 쏘안의 연행과 보급에 힘쓰고, 미래 세대에게 쏘안을 전승하는 기회를 마련해오고 있다. 공동체에서는 매주 또는 매월 강습을 진행하고 있다. 여러 쏘안 연행자 단체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에는 3세대 또는 4세대에 걸친 연행자 가족 구성원이 백 명이나 참여하는 단체가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다.\n\n쏘안의 관객을 양성하기 위해 지역 학교에서는 커리큘럼에 쏘안을 도입하여 유산과 지역 역사를 교육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쏘안 공동체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시연 활동과 사회적 행사를 통해 청년들의 관심을 일으키고 쏘안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제고하고 있다.\n\n공연의 무대로 활용되는 쏘안 공동체 내의 여러 사원과 성지들은 전쟁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쇠퇴되었다. 이에 정부는 공연 장소를 복구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자금을 배정했다. 이 정부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은 복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들의 문화공간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n\n2017년 3월 28일, 베트남에서 가장 큰 쏘안 공연장이 비엣찌에 위치한 낌득(Kim Duc) 마을에 문을 열었다. 일설에 의하면, 이 곳의 라이랜(Lai Len) 사원 내에 위치한 공연장에서 베트남 최초의 쏘안 공연이 있었다고 한다.\n\n이와 같은 여러 특색 있는 프로젝트를 통해 쏘안 공동체에서는 쏘안의 연행과 전승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n\n사진 : In marked contrast to the traditional past, Xoan is now widely performed by young practitioners © Le Thi Minh LyYear2017NationViet Nam
Open Archive 2
-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줄타기는 줄광대가 줄 아래에 어릿광대와 삼현육각 악사를 대동하고 음악 반주에 맞추어 줄 위에서 다채로운 기예·재담·가요를 연행(演行)하는 전통연희이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되어 있다. (출처: 한국전통연희사전) 또한, 2011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도 등재된 종목이다. 본 사진과 영상은 2019 대한민국 무형문화재대전 기간 중 국립무형유산원 중정에서 열린 공연을 찍은 것이다.
South Korea -
종묘제례
종묘제례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사당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노래와 무용이 함께 연행된다. 종묘제례는 절차에 따라 음악을 중심으로 이뤄지는데 이때 조상의 공덕을 찬양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제례연행 시, 연주하는 음악을 종묘제례악이라 부른다. 종묘제례악은 세종(1447)때 만들어지고, 세조(1464)때 제사에 적합하게 고쳐진 이후 전승되고 있으며 현재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봉행되고 있다.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