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음악
ICH Materials 7
-
민중 예술가 톡토굴 사틸가노프톡토굴 사틸가노프(Toktogul Satylganov)는 위대한 작곡가이자 시인, 아킨(akyn, 즉흥 음송시인), 코무즈 연주가로, 키르기스스탄 문화에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는 서민들의 고충에 관해 노래했고, 키르기스스탄이 제정러시아의 식민지배를 받던 시절 민족의 자유와 독립에 관한 노래들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문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n\n톡토굴 사틸가노프는 1864년 잘랄아바트주 톡토굴시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읽기와 쓰기를 배운 적은 없지만, 13세의 나이에 코무즈(키르기스 전통 악기) 연주법을 스스로 익혔고 서민들의 가난과 봉건제도의 잔인함에 관한 노래를 작곡하기 시작했다. 1898년 그는 안디잔(Andijan) 봉기에 가담했다는 누명으로 투옥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제정러시아 황제의 선처로 시베리아에서 7년간 복역하는 것으로 감형받았다. 시베리아 노동수용소에서의 경험은 사회적 불평등과 봉건제도의 비인간성에 대한 그의 생각을 보다 굳건하게 만들었다. 이런 연유로 그는 아킨으로서는 최초로 1917년 일어난 볼셰비키 혁명(니콜라스2세 황제에 대항하여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도하에 농민과 노동자가 일으킨 혁명)에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n\n그의 저명한 작품들은 키르기스 문학에 큰 기여를 했다. 또한 소비에트 시절 그의 노래는 키르기스 전통 사회의 여론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노래에는 서민의 삶과 조국의 아름다움, 그리고 소비에트시대의 공산주의 정당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 그는 ‘어떠한 여인이 레닌과 같은 아들을 낳았는가?’라는 노래를 통해 최초로 레닌을 묘사하기도 했으며, 이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문학의 시초로 여겨지고 있다. 그는 노래를 통해 전제정치의 종말을 예고하며 노동권을 찬양했고,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자극이 됐다. 수많은 키르기스 시인과 작곡가들이 그의 영향을 받았고, 그의 작품은 여러 언어로 번역됐다.\n\n톡토굴 사틸가노프는 아킨으로서 키르기스 전통 예술에 중요한 인물이다. 아킨은 키르기스 유목민의 주된 문화적 표현양식으로, 200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됐다.\n\n키르기스 문학에 지대한 공을 세운 그를 기리기 위한 시와 음악, 책, 기사, 영화가 많이 만들어졌다. 수도 비슈케크 중심에 위치한 국립필하모닉 홀의 명칭에는 그의 이름이 사용됐고, 그를 위한 여러 기념물이 세워졌다. 톡토굴 시도 그를 기념하기 위해 명명됐다. 이밖에도 여러 거리와 지역, 공원, 학교, 도서관, 심지어 최대 규모의 수력발전소와 저수지에서도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있다. 톡토굴 사틸가노프는 위대한 작곡가이자 시인, 아킨, 코무즈 연주자로서 키르기스 전통 예술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n\n사진 : Toktogul SatylganovYear2018NationKyrgyzstan
-
문화유산 교류, 서벵골에서 워싱턴까지'문화적 교류를 통해 문화의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바로 이것이 미 국무부의 지원을 받아 월드러닝(World Learning)에서 진행하는 ‘공동체 간 문화유산 교류(Communities Connecting Heritage)’ 프로그램이 얻은 교훈이다. 해당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최근 인도의 문화개발 관련 사회기업인 방글라나탁닷컴과 미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민속문화유산센터는 공동으로 ‘밝은미래를 위한 협동학습 프로젝트 (Learning Together for a Brighter Future)’를 진행하였다.\n\n해당 프로젝트에는 미국의 젊은 문화전문가 20여명과 인도 서벵골의 젊은 전통보유자 31명이 참여해 예술, 음악, 음식, 생활양식, 세계화, 대중문화에서의 소셜미디어 활용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다양한 교류행사를 가졌다. 인도 참가자 중에는 긴 천에 이야기가 담긴 그림을 그리고 이를 노래하는 파투아(Patua), 전통 금속공예인 도크라(Dokra) 예술가, 음유시인 바울(Baul), 극 예술가 등이 포함되었다. 양측은 각각 다섯 명의 대표를 뽑아 서로 서벵골과 워싱턴 DC를 방문하기도 하였다.\n\n참가자들은 자신들의 문화를 설명하는 사진 및 영상을 나누고 문화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인터뷰, 기록 및 스토리텔링 관련 기술을 배우기 위한 가상 워크숍도 열렸다. 인도 및 미국 참가자들은 짝을 이루어 공통의 관심사와 경험을 담은 블로그를 만들기도 했는데, 게시물의 주제는 아이 양육부터 유적지 관리까지 다양했다. 소파이피야, 루치 등의 전통 음식이나 파타치트라 및 레타블로 등 전통 그림에서도 문화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n\n2018년 2월 미국 대표단은 서벵골 여행 중 콜카타에서 열린 세계평화음악축제 ‘수르자한(Sur Jahan)’에서 많은 예술가들을 만나고 문화유적지를 방문하는 한편, 공동체 기반의 문화산업에 대해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 이들은 또한 청소년 문화유산교육을 주제로 한 원탁회의에 참여하였으며, 이제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시회 ‘젊은 미국인의 시선(Through the Eyes of Young Americans)’를 열기도 하였다.\n2018년 6, 7월에는 인도 대표단이 워싱턴 DC를 방문하였다. 역동적인 국제 도시의 모습과 훌륭한 음식, 화려한 밤 문화 등이 이들을 매료시켰다. 지역 공동체 및 대중과 함께하는 주말의 드럼 서클, 매주 열리는 재즈콘서트, DC앨리뮤지엄, 스미소니언민속축제 등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파투아들은 내셔널몰에서의 인권 캠페인을 그림으로 그리고 노래를 불러 큰 호응을 받았다.\n\n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은 2018년 8월 13일 인터넷 세미나인 웨비나(웹+세미나)를 열어 서로의 경험과 생각을 나누었다. 프로그램이 마무리되면서 인도 청년들에게는 미국의 다문화적인 뿌리와 정신이, 미국 청년들에게는 벵골의 전통문화가 스며들었다.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웨비나 및 관련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n\n사진 1 : 파투아 마을에서 두루마리서화를 배우는 학생들 ⓒ 방글라나탁닷컴\n사진 2 : 카탈루니아 음악가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바울 음악가들 ⓒ방글라나탁닷컴\n사진 3 : 미국 링컨 메모리얼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인도 예술가팀 ⓒ 방글라나탁닷컴Year2018NationIndia
Open Archive 2
-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줄타기는 줄광대가 줄 아래에 어릿광대와 삼현육각 악사를 대동하고 음악 반주에 맞추어 줄 위에서 다채로운 기예·재담·가요를 연행(演行)하는 전통연희이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되어 있다. (출처: 한국전통연희사전) 또한, 2011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도 등재된 종목이다. 본 사진과 영상은 2019 대한민국 무형문화재대전 기간 중 국립무형유산원 중정에서 열린 공연을 찍은 것이다.
South Korea -
종묘제례
종묘제례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사당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노래와 무용이 함께 연행된다. 종묘제례는 절차에 따라 음악을 중심으로 이뤄지는데 이때 조상의 공덕을 찬양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제례연행 시, 연주하는 음악을 종묘제례악이라 부른다. 종묘제례악은 세종(1447)때 만들어지고, 세조(1464)때 제사에 적합하게 고쳐진 이후 전승되고 있으며 현재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봉행되고 있다.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