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Photos

Description 춘우는 장족 고유의 춤이자 중국 고전무용을 대표하는 수수무 형식을 바탕으로, 봄날에 내리는 우아한 비와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춤으로 표현한 창작무이다. 수수무는 긴 소매 옷을 입고 추는 '장삼무'의 일종이다. 수수무의 '수수'는 긴 소매가 뿌려지는 모습이 마치 물을 뿌리는 듯하다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처음에는 빈손으로 추었으나 점점 수수의 길이를 부각시켜 오늘날의 긴 소매 형태로 발전했다. 무용수들이 연습을 할 때에는 주로 흰색 수수를 입으며, 공연을 할 때는 작품에 따라 다양한 색깔과 형태로 수수에 변화를 준다. 수수무 동작은 수수를 뿌리거나, 뿌린 수수를 다시 잡거나, 또는 잡은 수수를 다시 뿌리는 등의 춤사위가 특징이다. 수수를 휘두를 때의 원칙은 ‘곡중구원(曲中求圓)’ 즉 원만한 곡선이다. 수수가 뿌려질 때의 자태는 알파벳 ‘S’ 자를 아름다움의 표준으로 삼는다. 원만함과 곡선미는 수수무의 심미적인 특징을 대변하는 말인 동시에 극단에 치닫지 않고 조화로움을 강조하며 화평, 공존, 화합을 추구하는 장족 특유의 철학 및 기질과도 일맥상통한다. 수수무는 불교 제사에서 유래했다. 장족의 티벳 불교는 인도의 밀교, 중원의 대승불교, 티벳 지역 토착 종교인 분교(笨教)가 융합된 독특한 종교이다. 초창기 인도 불교 계승자들은 의식 무용을 처음으로 티벳 지역에 전파한 이후 불교의 교의를 선전하는 중요한 도구로서 무용을 활용했다. 이후 분교의 무당춤이 흡수되어 수수무의 원형인 ‘강모(羌姆)’가 만들어졌다. 티벳 불교의 대표적인 무용인 강모는 장엄함, 엄숙함, 경건함, 기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사의 악무 공연으로 한국의 ‘굿’과 같은 개념이다. 본래 제사 의식에 사용되었던 수수무는 인도 불교 무용, 중국 당조의 궁중 악무와 전통을 결합하고, 서역 각 민족의 춤사위를 참고하면서 발전을 거듭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티벳 불교를 믿는 정교합일 사회에서, 종교는 티벳 사람들의 의식과 일상을 지배했고 불교 의식 춤이었던 수수무는 자연스레 민간으로 전파되어 장족 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민속 무용의 전형이 되었다. 수수무는 지역에 따라 현자춤, 궈장춤 등 각기 다른 특색을 가진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데, 1950년대 이전까지 티벳 사회가 봉쇄되어 있었던 덕분에 비교적 원형이 그대로 보존될 수 있었다. 이후 1978년 중국 정부의 개혁개방 이후 ‘민족종교신앙자유 정책’을 실행하면서 수수무의 예술적 가치가 새삼 주목을 받았다. ‘신중국’ 설립 후 북경 등 대도시로부터 초청을 받은 수수무 전승자들이 각지로 진출해 춤을 전파하기 시작했고, 오늘날까지 수수무는 중국 민중 모두가 즐기는 전통춤의 하나로 사랑받고 있다. 티벳 불교의 제사용 의식무인 수수무에서 유래한 것으로 소매가 긴 상의(수수)를 힘차게 뿌리는 듯한 동작이 특징인 춤이다. 출연자: 중국 성도체육대학교 예술학과 예술감독: 로봉
Photographer (사)아시아춤문화연구소
Place 대한민국 File Size 444KB
Definition 882 x 540 File Format PNG
Copyright (사)아시아춤문화연구소 Copyright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Photos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