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PI00007630 Country Thailand Year 2023-04-23 ICH Domain Performing Arts

Description | 피타콘은 매년 3월에서 7월 사이, 3일에 걸쳐서 태국 러이의 단사이 지방에서 열리는 가면 축제로, 신들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고, 마을의 보호와 농번기의 풍족한 비를 발원하는 의식을 포함한다. 젊은 남자들은 다양한 색채의 나부끼는 의상을 입고, 혼령을 묘사한 피타콘 가면을 쓴다. 원색으로 된 긴 코가 특징인 피타콘 가면은 모자, 얼굴, 코 3개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모자는 찹쌀밥을 담기 위해 쓰던 대나무로 엮은 전통 용기 ‘후앗’으로 만든다. | ||
---|---|---|---|
Photographer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KF아세안문화원 | ||
Place | File Size | 12.6MB | |
Definition | 300dpi | File Format | JPG |
Copyright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KF아세안문화원 |
![]() |
Information source
ICHCAP
Materials related to
Photos
더보기-
PI00007629
태국, 피타콘
피타콘은 매년 3월에서 7월 사이, 3일에 걸쳐서 태국 러이의 단사이 지방에서 열리는 가면 축제로, 신들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고, 마을의 보호와 농번기의 풍족한 비를 발원하는 의식을 포함한다. 젊은 남자들은 다양한 색채의 나부끼는 의상을 입고, 혼령을 묘사한 피타콘 가면을 쓴다. 원색으로 된 긴 코가 특징인 피타콘 가면은 모자, 얼굴, 코 3개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모자는 찹쌀밥을 담기 위해 쓰던 대나무로 엮은 전통 용기 ‘후앗’으로 만든다.
Thailand 2023 -
PI00007631
태국, 피타콘
피타콘은 매년 3월에서 7월 사이, 3일에 걸쳐서 태국 러이의 단사이 지방에서 열리는 가면 축제로, 신들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고, 마을의 보호와 농번기의 풍족한 비를 발원하는 의식을 포함한다. 젊은 남자들은 다양한 색채의 나부끼는 의상을 입고, 혼령을 묘사한 피타콘 가면을 쓴다. 원색으로 된 긴 코가 특징인 피타콘 가면은 모자, 얼굴, 코 3개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모자는 찹쌀밥을 담기 위해 쓰던 대나무로 엮은 전통 용기 ‘후앗’으로 만든다.
Thailand 2023 -
PI00007628
태국, 피타콘
피타콘은 매년 3월에서 7월 사이, 3일에 걸쳐서 태국 러이의 단사이 지방에서 열리는 가면 축제로, 신들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고, 마을의 보호와 농번기의 풍족한 비를 발원하는 의식을 포함한다. 젊은 남자들은 다양한 색채의 나부끼는 의상을 입고, 혼령을 묘사한 피타콘 가면을 쓴다. 원색으로 된 긴 코가 특징인 피타콘 가면은 모자, 얼굴, 코 3개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모자는 찹쌀밥을 담기 위해 쓰던 대나무로 엮은 전통 용기 ‘후앗’으로 만든다.
Thailand 2023 -
PI00007788
태국, 콘(나라이(비슈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2018) 태국의 가면 춤극인 ‘콘’은 음악과 노래, 문학, 의례, 수공예 요소가 결합된 공연예술로 전통적으로 왕실이나 귀족 가문, 명인 무용수들의 가계에서 전승되었다. 「라마야나」를 태국식으로 극화한 「라마끼얀」 서사를 중심으로 라마의 일생을 묘사한 에피소드들이 공연된다. 무용수들은 섬세하게 수놓은 의상을 입고 ‘피파트’라는 타악기 악단의 연주와 노래 그리고 내레이션에 맞추어 춤을 완성한다. 콘은 한편으로 태국 궁정에서 수세기 동안 가다듬어진 정교한 예술적 전통을 예시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매혹적인 연극 작품으로서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지닌 관객들에게 풍부한 감상 경험을 제공한다. 나라이 혹은 비슈누는 힌두 서사시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최고의 신이다. 그의 화신 혹은 아바타 중 하나가 바로 라마다. 태국 콘 가면 춤극에서 나라이 가면은 자주색이며 왕관을 쓰고 있다.
Thailand 2023
Videos
Article
-
DI00001446
[1부] 가면의 유래
인류는 과거에도 원활한 수렵을 기원하기 위한 동물 가면이나 풍년을 기원하는 주술적 목적의 가면을 제작해 왔다. 재앙과 질병을 퇴치하고 풍족한 삶을 기원하는 의례용 가면 뿐만 아니라, 놀이와 오락적 욕구에서 비롯된 공연용 가면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 아세안의 가면들을 통해 가면의 기원을 추적해 본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KF 아세안문화원 2023 -
DI00001447
[2부] 신화의 재현
신화의 내용을 재현한 아세안의 가면극이 지닌 화려한 매력과 그 속에 담긴 역사적 가치를 조명한다. 아세안의 가면극은 주로 설화나 역사적 서사를 다루며, 가면과 복식, 음악과 춤이 결합된 종합예술이다. 특히 캄보디아, 태국과 같은 아세안 국가들에서는 라마 왕자의 일대기를 다룬 고대 인도의 힌두교 대서사시 「라마야나」를 극화하여 무용극, 가면극, 나아가 그림자 연극으로까지 발전시켰다. 아세안의 가면극은 아세안 문화의 다양성과 예술적 창의성을 보여주고 문화 교류의 매개체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KF 아세안문화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