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
Manage No DI00000183 Country Republic of Korea Author 자네트 블레이크 부교수, 테헤란 샤히드베헤슈티 대학교 Published Year 2015 Language Korean Copyright Attach File Preview (KOR)
Description | 무형유산에 표현된 성 다양성은 최근 인권 가치로 여기고 있는 문화 다양성의 한 부분으로 바라봐야 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보호를 받아야만 한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듯 일부 전통문화의 관습이 평등, 차별금지라는 인권 원칙의 핵심과 양립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성 평등의 필요조건이 유네스코 2003 무형유산보호협약의 틀 안에서 어떻게 충족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는 사실 상당히 중요하고도 복잡한 쟁점들을 제기한다. 이들 쟁점의 핵심은 바로 인권 형태로 성 평등이라는 개념과 무형유산 속에서 표현되고 무형유산 보유자 공동체가 이해하고 있는 다양한 표현 방식 간에 자리하고 있는 모순이다. 2003 협약은 협약 전문에도 나타나 있듯이 분명 인권이라는 커다란 맥락 속에서 제정된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이론상의 문제만이 아니다. 즉 이 협약에 의해 인정되고 보호받는 모든 무형유산은 인권의 필요조건에 부합해야 하며, 특히 그러한 필요조건 가운데에서(여러 가지 다양한 토대 가운데) 성을 토대로 한 평등이 중심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보호를 목적으로 무형유산을 발굴하는데 관심이 있는 정부, 국제사회, 기타 주체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도전 과제다. 비록 국가 차원의 무형유산 보호에서는 더 많은 자유재량이 주어질 수 있지만 국제협약(특히 국제간의 명문화와 지원)의 경우 더욱더 엄격한 성 평등과 차별 금지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Article
더보기-
DI00001183
무형문화유산과 성평등(국문)
성에 대한 가치관, 규범과 규율은 사회, 공동체 및 집단 간에 다양하다. 모든 무형 문화유산의 표현들은 특정 공동체의 성집단 간, 또는 성집단 내의 성역할 및 관계에 관한 지식과 규범을 담고 있으며, 후대에 전승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형문화유산은 성역할과 정체성을 형성하고 이를 전승하는데 있어 중심적인 맥락이다. 따라서 무형문화 유산과 성 정체성의 형성은 서로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ICHCAP, UNESCO 2018 -
DI00000416
무형유산 공동체의 성역할에 관한 인식변화 : 살락 욤 축제 사례
많은 문화권에는 성에 따라 그들의 특정 역할, 기능 혹은 문화적·사회적 활동을 수행하는 데 기대되는 성 개념이 있다. 남자들은 강하고 힘이 세다고 생각되어, 주로 힘든 육체노동, 지도력 그리고 문해 능력과 관련된 역할을 담당한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여성스럽고 모성애적인 특성을 띠는 것으로 여기고 사회적 행사에서 남성을 돕는 역할을 맡긴다. 비록 이러한 성별 특성과 역할에 대한 개념이 문화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문화의 특정 부분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결정하는 전통적 관습은 종종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금기와 얽혀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리니나 푸티탄, 퍼실리테이터, 유네스코 무형유산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