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Publications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통합 계획과 실행에서의 문화유산 NGO 역할
  • Manage No DI00001227
    Country Republic of Korea
    Author 아난야 바타차리아 (인도 콘택트베이스 사무총장)
    Published Year 2014
    Language English
    Copyright Copyright
    Attach File Preview (KOR)
Description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 협약과 운영지침은 NGO 역할의 중요성을 개략 서술하고 있다. 특히 협약에 관한 인식을 제고하고, 국가 · 지역 · 국제 차원에서 프로그램 및 정책 수립에 필요한 자원 투입을 위해 모범 사례와 도전 과제를 논의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을 마련하며, 지식 제공과 법률 수립 및 역량 구축으로 공동체의 보호 활동 참여를 증진하는 NGO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지금까지 무형유산 NGO가 거둔 성과는 공동체 역량 구축, 연구 및 기록화 작업, 문화 관광을 통한 유산 지역과 공동체의 고유한 정체성 확립, 국경을 초월하는 창조 활동 장려, 문화 자원 구축, 관련 문화예술 기관 조직 등 여러 분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무형유산 NGO는 2015년 이후 개발 정책 틀에 문화가 포함될 수 있도록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 지금까지 문화는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의 주 의제로 간주되지 않았다. 그러나 빈곤 퇴치, 공동의 번영 추구 및 평등 실현, 교육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성 평등과 여권 신장 확대, 개발 및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국제 동반자 관계 구축, 평화롭고 포용하는 사회 구축 등 SDGs의 세부 사항 달성에 필요한 핵심요소 또는 조력자로서 문화를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공유, 네트워킹, 중재 역할을 통해 NGO는 개발 정책 요소의 핵심으로서 문화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정책 결정자들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전승자의 참여가 보장된 문화 혁신 기반의 개발 정책을 마련함으로써 이해 당사자에게 소유권이 돌아가는 창조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NGO는 문화 자원 확보, 유산과 창조성, 문화 자원에 바탕을 둔 사회경제성 혜택에 대한 지표 구축, 유산 관리 역량 구축 및 지원, 가치사슬 강화를 중심으로 그 역할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Book related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