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Elements

농악(農樂) marks_1
  • Manage No, Sortation, Country, Writer ,Date, Copyright
    Manage No EE00000171
    Country Republic of Korea
    ICH Domain Performing Arts Social practices, rituals, festive events
    Address
    농악은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사람들이 모임인 만큼 사람들 사이에서 조화를 추구하는 공동체 의식 및 농촌의 여흥 활동에서 유래되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공연 예술 장르로 발전하여 왔으며 한국인들 모두가 폭넓게 연행하고 즐기고 있다. 지리적으로 농악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연행되고 있다. 두드러진 지역적 특성에 따라 농악은 일반적으로 경기/충청도, 영동(강원도), 영남(경상남북도), 그리고 전라도를 호남 좌도와 우도로 나눈 5개 문화권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같은 문화권 내에서라도 각 마을마다 농악대의 구성, 연주 스타일, 리듬, 의상 등에서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농악대가 고향이나 마을의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는 것에서 드러나듯이 마을 공동체와의 끈끈한 연관성을 유지하며, 이러한 특성 덕분에 민속 예술 농악의 보존과 전승을 담보할 수 있었다. 농악은 농촌의 경계를 넘어 대한민국의 현대적인 공예 예술로도 발달하였다. 한반도 이외의 지역, 예를 들면 중국의 조선족, 미국과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으로 이주한 한민족들도 고유한 스타일의 농악대를 구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Description [농악은 2014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농악은 타악 합주(때때로 관악기가 포함되기도 함), 행진, 춤, 연극, 기예의 요소가 한데 어우러진 일종의 종합 공연 예술 장르이다. 농악은 마을신과 농사신을 위한 제사, 액을 쫒고 복을 부르는 축원, 봄의 풍농 기원과 추수기의 풍년제, 마을 공동체가 추구하는 사업을 위한 재원 마련 행사, 그리고 전문 농악패들에 의한 여흥 등 실로 다양한 목적으로 연행되어 왔다. 마을의 흥겨운 행사치고 화려하게 치장한 농악대의 떠들썩한 음악과 춤으로 마무리되지 않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농악 공연이 북돋는 흥겨운 기분, 즉 신명은 한국인에게서 발견되는 가장 두드러진 감정이라 여겨지기도 한다. 음악의 장단은 흔히 3소박과 혼박, 혼소박 등 불균등 구조의 복잡한 리듬이 많이 사용된다. 쇠와 가죽으로 음색을 내는 꽹과리와 장구가 주요 리듬을 연주하는 한편, 징과 북은 단순한 리듬으로 음악에 강세를 만들어준다. 소고를 연주하는 연행자들은 음악 연주보다는 춤에 더 치중한다. 농악 춤은 개인의 기량을 보여주는 춤과 함께 단체가 만드는 진짜기, 상모놀음 등이 포함된다. 탈을 쓰거나 특별한 옷차림을 한 잡색들이 재미난 촌극을 보여주는 것으로 연희가 진행되고, 버나돌리기나 어린 아이를 어른 연행자의 어깨 위에 태워 재주를 보여주는 무동놀이와 같은 기예도 함께 연행된다. 농악은 기층민들에 의해 가장 빈번하게 연행되고 향유되지만 신명나는 공연을 보여주는 전문연희패들도 다수 활동하고 있다. 최근 전문적인 레퍼토리는 타악 4중주에 해당하는 ‘사물놀이’와 넌버벌(non-verbal) 연극 ‘난타’와 같은 작품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런 시도는 음악적인 요소만을 극적으로 강조하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보다 광범한 청중의 감성에 다가갈 수 있다.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흥을 돋우고 사람들 사이에서 단합과 화합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공동체의 행사에서는 빈번하게 농악이 연주되고 있으므로 한국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농악에 노출되어 왔다. 오늘날까지 농악은 폭넓은 인기를 누리는 민속 예술로 남아 있으며, 각종 축제와 모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때문에 한국인이라면 누구라도 농악을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여기고 있다. 근대 이전 시대의 농악은 공동체 내 연대성과 협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공동체 구성원들 사이에 정체성을 만들고 공유하였다. 도시화와 산업화의 경향 속에서 생활방식과 사고방식이 변화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오랜 세월에 걸친 농악의 기능은 오늘날의 한민족 사회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농악의 다양한 기능, 즉 매혹적이고 서사적인 민속 예술, 흥겨운 여흥의 형식, 공동체 축제나 공적 행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농악이 지니는 가치는 매우 높으며, 농악이 각 지방에서 풀뿌리 문화의 산물로서 가장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는 예술 형태라는 점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다. 한국인들은 흔히 흥이 많고 열정적이며, ‘신명(도취적인 흥분)’이 있다고 묘사되고는 한다. 이러한 정서적 특징 덕분에 한국인들은 노래와 춤, 음악 연주 등에 쉽게 매료되는 성향을 지녔다. 타악기의 흥겨운 리듬과 태평소의 귀를 뚫을 것 같은 고음이 특징인 농악은 보고 듣는 사람들에게 절로 노래를 따라 부르고 어깨춤을 추게 만든다. 따라서 흔히 농악은 잔치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순서로서, 연행자들과 관객이 한데 어울려 흥겨움을 나누고 소통하게 해주며 이러한 역할에 적격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람들은 강한 소속감을 느끼며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오늘날까지 변함없이 농악이 지켜온 불변의 가치이며, 이러한 특성 덕분에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도 성공적으로 전승될 수 있었다.
Transmission method 농악은 매우 자연스럽게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오늘날 농악은 한국인의 일상 생활의 일부로서 인기 있는 공연 예술이 되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마을과 도시에서 농악을 보고 참여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자연스럽게 농악에 익숙해진다. 초등학교 수준의 공교육은 음악을 위한 악기 연주에 대한 수업을 제공하기 때문에 모든 한국인들이 기본적인 내용을 배우고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모든 수준의 학교에서 학생들은 정규 교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방과 후나 동아리 활동을 통해 음악을 배우고 그룹 공연에 참여할 수 있다. 어른들 또한 그들의 직장이나 지역사회에서 클럽에 가입함으로써 음악을 연주하는 것을 즐길 수 있다. 각 지역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센터와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농악 보호를 위한 개인 연주자 및 사회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 간의 문화적 공감과 소통의 매개체로서 농악을 보급하고 후대에 전승하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이 교육 프로그램들은 일주일에 1~2회 제공되며,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 열정적으로 참가한다. 농악의 교육 및 전파에는 국립국악원 등의 공공기관과 전문 공연단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립국악원은 수준 높은 공연을 제공하는 민속악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 각지의 지역 지부는 각 지역의 특색있는 농악을 홍보하고 전달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Community 농악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분포하는 다양한 유형의 공동체, 집단에서 전승되고 있다. 농악 전승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이런 단체들은 각각의 스타일을 널리 대중화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각각의 지역적인 특성을 유지하고 표현하고 있다. 농어촌에서는 마을 농악패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의 경우 일반 기업과 학교, 시청, 근린공동체 등에 소속된 자발적인 단체들이 농악의 전수, 공연, 대중화 및 전승에 앞장서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열정적이고 자발적인 노력은 농악의 보존 및 전승을 위한 견고한 토대가 되고 있다. 각 급 학교도 농악의 전수와 전승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초등학교 학생의 대부분은 농악대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악기들을 배우는 기회를 누리고 있으며,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자발적인 농악 동아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어린 시절에 농악을 경험한 경우 훗날 어른이 되어 그에 대한 흥미가 되살아나는 경우가 많다. 정부 차원에서 여러 적극적인 노력도 개진 중이다. 특히, 중앙 및 지방 정부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탁월한 연행자나 단체를 국가나 시, 또는 지방 차원에서 중요무형문화재(인간문화재)로 지정하여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이들은 농악을 미래 세대에게 전승해야 한다는 특별한 책임을 지고 있다. 전문적인 공연 그룹은 국립국악원과 기타 여러 국가 기관 또는 공적 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민간 조직 역시 농악의 전승을 위하여 기여하고 있다.
Type of UNESCO List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cribed year in UNESCO List 2014

Information source

Elements related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