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Audios

구비서사시(口碑敍事詩)와 발라드 1집: 툴루 팟다나(TULU PADDANA)
Description

CD4_구비서사시(口碑敍事詩)와 발라드 1집: 툴루 팟다나(TULU PADDANA) 서사시, 발라드, 설화 등 구비서사 전통은 의례, 스토리텔링, 지역 신화 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면서 인도 무형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인도 구비서사시는 대부분 가창의 형식으로 표현되지만 그중에는 암송이나 산문의 형태도 있다. 운율도 다양하고 운율마다 정의와 사용하는 용어가 다르다. 예를 들어, 알하(Alha)를 노래 부르는 운율은 ‘알하 츠한드(Alha Chhand)’라고 한다. 구비서사시를 연행하고 표현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사건을 묘사하는 그림을 보여주며 서사하는 이야기도 있고, 연극으로 표현하기도 하며, 예를 들어 모내기할 때 연행하는 팟다나 (paddana)의 경우에는 가창으로 표현한다. 스튜어트 블랙번 (Stuart Blackburn)과 조이스 플루키거(Joyce Flueckiger)는 인도 구비서사시를 전쟁에 관한 것, 의례에 관한 것, 사랑에 관한 것 등 세 가지로 구분했다. 서사시 중에는 여러 개의 사건과 인물을 하나의 이야기로 풀어내는 경우도 있고, 여러 개의 이야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인도 구비서사시는 공동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공연자, 청중, 참여자 모두가 같은 공동체 소속이기 때문이다. 의례와 연관이 있는 서사시도 있고, 서사시의 연행이 의례 자체인 경우도 있다. 인도 서사시의 연행과 연행의 지원에서 계급 제도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가 이러한 지역 서사시에 흡수되어 지역 서사시의 연행자가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 나오는 영웅이나 신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인도의 저명한 민속학자 코말 코타리(Komal Kothari)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은 지역 서사시가 애초의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날 때 발생한다. 이 앨범에서 서사시 공연의 전체를 다 보여줄 수는 없지만 수록된 기록물을 통해서 인도 구비 서사 전통의 운율, 가창 형태, 가사 등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앨범에는 세 편의 구비서사시가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부분은 전체 공연의 일부로, 각각 해당 분야에 대한 방대한 연구 성과가 있는 전문가가 기여한 것이다. 팟다나는 피터 클라우스 (Peter Claus), 난다 데비 자가르(Nanda Devi jagar)는 윌리엄 삭스(William Sax), 알하는 카린 스초머(Karine Schomer)가 기여했다. 툴루 - 툴루어는 드라비다어 족(Dravidian family)에게 중요한 언어로 카르나타카 주 해안과 케랄라 주 북부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지역은 고대부터 툴루나두(Tulu Nadu)로 알려져 있다. 툴루 문화는 여전히 살아 있는 전통으로 이 지역의 농업 주기에 따라 연행된다. 툴루 구비문학은 논농사를 비롯해 빈랑(檳榔), 코코넛, 플랜테인, 녹색 채소 등의 경작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농업, 친족 관계, 가족 구성, 카스트 제도, 다양한 직업, 이 지역의 동식물 등의 배경에서 다양한 민속 문화가 나왔다. 따라서 툴루 팟다나는 모내기와 같은 농업 활동과 부타(bhuta)신이나 기타 지역 신에 대한 지역의 설화가 결합하여 탄생했다. 팟다나 - 툴루 팟다나는 구비서사시 또는 영웅에 관한 발라드다. 대부분 여성들이 가창으로 연행하는 팟다나는 여성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 또는 여성이 당면한 문제를 이야기한다. 팟다나 중에는 특정한 논에서만 연행할 수 있는 것도 있고, 볏모를 뽑거나 심는 등 특정한 일을 할 때만 연행할 수 있는 것도 있다. 또한 신이나 가창자의 빙의와 연관된 것도 있다. 그러므로 팟다나 중에는 신앙의 한 형태로만 연행하는 것도 있다. 부타신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팟다나도 많다. 부타신은 카르나타카 주, 특히 카르나타카 주 해안에서 신앙의 대상이며 툴루 문화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팟다나를 연행하는 전문 가수들은 이러한 설화를 그대로 보존해야 하는 의무가 있지만, 민속학자들은 이들이 연행을 하면서 창의성을 발휘한다고 말한다. 다이바(daiva) 신이 의례적으로 재현되는 공연에서, 신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가수는 필요에 따라 기계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다. 가수는 주어진 이야기 틀 내에서 이야기에 살을 붙이기도 하고 쳐 내기도 하는 적극적인 주체다. 이때 가수는 관용구 사용, 배경 설명, 자세한 내용 구술 등 다양한 서사 전략을 사용한다. 팟다나를 부르는 주체는 대부분 여성이지만 계급이 낮은 남성이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오늘날 팟다나는 툴룬두(Tulundu)와 카르나타카의 민속 문화에서 그 위상이 커지고 있다. 이 앨범에 소개된 팟다나는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가장 높은 팟다나 학자인 피터 클라우스(Peter Claus)가 수집한 내용에서 발췌한 것이다. 아바가 다라가(Abbaga Daraga) - 이 앨범에 수록곡으로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가 선정된 이유가 있다. 팟다나에 정해진 시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 곡은 전체 이야기가 한 시간 정도 분량이기 때문에 이야기를 발췌하지 않고 전체를 수록하였다.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는 가장 잘 알려진 팟다나 중의 하나다. 이 이야기는 시리(Siri) 사원, 시리 신앙, 시리 팟다나 등과 관련이 있다. 아바가 다라가 사원은 카르나카타 주 남쪽 툴루 지역 시골 전역에서 볼 수 있다.

Audios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

Country : India

0:01:30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

Country : India

0:02:56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

Country : India

0:12:19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

Country : India

0:05:46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

Country : India

0:22:26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

Country : India

0:04:32

아바가 다라가 팟다나

Country : India

0:03:24


Information source
Sangeet Natak Akademi
https://sangeetnatak.gov.in/

Materials related to

Collection(Audio) related to